본문 바로가기
기타

DevOps의 기초: CI/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

by 코딩악어 2025. 2. 16.

DevOps의 기초: CI/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

안녕하세요, 코딩 악어입니다! 🐊 오늘은 DevOps의 기초 개념인 CI/CD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DevOps는 개발(Development)과 운영(Operations)을 결합한 용어로,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.

1. CI/CD란 무엇인가?

CI(Continuous Integration)와 CD(Continuous Deployment/Continuous Delivery)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의 자동화를 목표로 하는 프로세스입니다.

  • CI(Continuous Integration): 코드 변경 사항을 자주 병합하고 자동 빌드 및 테스트를 수행하여 코드의 품질을 보장합니다.
  • CD(Continuous Delivery/Continuous Deployment): CI 이후의 프로세스로,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배포 환경에 전달하여 신속한 릴리스를 가능하게 합니다.

2. CI/CD의 필요성

CI/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:

  • 빠른 피드백: 자동 빌드 및 테스트를 통해 코드 변경 사항에 대한 피드백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높은 품질: 지속적인 테스트와 검증을 통해 코드의 품질을 유지하고 버그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효율성: 자동화된 배포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팀의 효율성을 높이고, 수동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3. CI/CD 도구 선택

CI/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도구로는 Jenkins, GitLab CI/CD, Travis CI, CircleCI 등이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.

4. Jenkins를 이용한 CI/CD 파이프라인 구축

Jenkins는 오픈 소스 CI/CD 도구로,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유연하게 CI/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
bash
# Jenkins 설치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openjdk-11-jre
wget -q -O - https://pkg.jenkins.io/debian/jenkins.io.key | sudo apt-key add -
sudo sh -c 'echo deb http://pkg.jenkins.io/debian-stable binary/ > /etc/apt/sources.list.d/jenkins.list'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jenkins
sudo systemctl start jenkins

5. Jenkins 파이프라인 구성 예제

Jenkins를 이용해 간단한 파이프라인을 구성해보겠습니다.

groovy
pipeline {
    agent any
    stages {
        stage('Build') {
            steps {
                echo 'Building...'
                sh 'make build'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tage('Test') {
            steps {
                echo 'Testing...'
                sh 'make test'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tage('Deploy') {
            steps {
                echo 'Deploying...'
                sh 'make deploy'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}

결론

CI/CD 파이프라인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이용한 CI/CD 파이프라인 구축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. 꾸준히 연습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세요!